스프링부트에서 테스트는 일단 spring-boot-starter-test 의존성을 추가하고, @SpringBootTest가 마킹된 테스트 클래스를 작성한다. 이때 컨트롤러에 대한 테스트라면 MockMvc나 내장톰캣을 구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WebMvcTest 등을 활용하여 특정 레이어만 테스트할 수도 있다.

 

하나씩 알아본다.

spring-boot-starter-test 스프링부트에서 테스트를 위해 추가하는 의존성

스프링부트에서는 테스트를 위해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으며 코어 라이브러리와 Auto-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Starter(라이브러리 및 자동설정을 포함)를 제공한다. Stater 안에는 Spring 테스트모듈을 포함하여 JUnit, Jupiter, AssertJ, Hamcrest 등의 테스트시 유용한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다.

 

메이븐을 사용하다면 아래와 같이 pom.xml spring-boot-starter-test를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Test Class 작성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 테스트를 작성할 클래스에는 테스트의 성격에 따라서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애노테이션을 조합하여 마킹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SpringBootTest가 있는데, 이는 스프링의 @Context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을 대체하면서 몇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에서는 테스트를 위한 환경설정을 위해 @ContextConfiguration를 사용한다.)

 

아래는 기본적인 스프링부트 테스트 클래스이다.

Junit의 스프링 테스트를 위해 @Runwith가 마킹되어 있고, @SpringBootTest는 테스트를 위한 환경설정 및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각 @Test 메서드마다 단위 테스트를 작성한다.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 테스트를 위한 환경설정 및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public class SampleTest {

    @Test
    public void test1(){
        //
    }

    @Test
    public void test2(){
        //
    }
}

@SpringBootTest의 기능

  • 기본 ContextLoader로써 SpringBootContextLoader를 사용한다.
  • 자동으로 @SpringBootConfiguration을 찾는다. @SpringBootConfiguration은 @SpringBootApplication(메인 클래스) 안에 있다.
  • 커스텀 Environment 프로퍼티를 정의할 수 있다.
  •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설정하는 application argument를 테스트 프로그램에서 정의할 수 있다.
    @SpringBootTest(args="--app.test=one")
  • WebEnvironment를 지정할 수 있다.
    • WebEnvironment.MOCK : 아무런 설정이 없을 시 적용되는 디폴트 설정이다. mock 서블릿 환경으로 내장톰캣이 구동되지 않는다.(브라우저에서 접속되지 않는다.)
    • WebEnvironment.RANDOM_PORT : 스프링부트를 직접 구동시킨 것처럼 내장톰캣이 구동되나 랜덤포트로 구동된다.
    • WebEnvironment.DEFINED_PORT : 정의된 포트로 내장톰캣이 구동된다.
    • WebEnvironment.NONE : WebApplicationType.NONE으로 구동된다.
  • 테스트를 위한 TestRestTemplate 빈과 WebTestClient 빈을 등록할 수 있다.
    만일 WebEnvironment.MOCK 이라면 TestRestTemplate과 WebTestClient빈은 등록되지 않는다. 실제 내장톰캣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사용할 여지가 없고 어플리케이션에 요청을 보내고 싶다면 MockMvc로 테스트하면 되기 때문이다.

WebEnvironment 설정에서 디폴트 값이 MOCK 이므로 내장톰캣이 구동되지 않고 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에 유의한다.


@AutoConfigureMockMvc

디폴트 설정이 서버가 실행되지 않고 Mock 환경에서 진행되므로 컨트롤러처럼 엔드포인트가 있는 테스트를 진행할 때는 MockMvc를 활용한다.
MockMvc는 가상의 클라이언트로 어플리케이션에 요청을 날리는 역할을 한다. MockMvc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있지만 테스트클래스에 @AutoConfigureMockMvc을 마킹하고 주입받는 것이 간단하다.

MockMvc를 사용하여 mock 환경에서 컨트롤러를 테스트하는 코드이다.

@Controller
public class SampleController { // 테스트 대상의 컨트롤러
    @GetMapping("/sample")
    @ResponseBody
    public String sample(){
        return "sample's return";
    }
}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quest.MockMvcRequestBuilders.*;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Handlers.*;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Matchers.*;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AutoConfigureMockMvc // MockMvc를 생성한다.
public class SampleTest {
    @Autowired
    MockMvc mockMvc; // 생성된 MockMvc 빈을 주입받아 테스트에 사용한다.

    @Test
    public void sampleController_Test() throws Exception {
        mockMvc.perform(get("/sample"))
                .andExpect(handler().handlerType(SampleController.class))
                .andExpect(handler().methodName("sample"))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string("sample's return"))
                .andDo(print());
    }

}

요청을 받는 클래스나 메서드명부터 결과 상태코드, 리턴값 등 다양한 검증이 가능하다. 


내장톰캣 구동 테스트

Mock서블릿 환경이 아닌 내장톰캣을 구동하여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SpringBootTest에 WebEnvironment를 설정한다.

 

@SpringBootTest(webEnvironment = SpringBootTest.WebEnvironment.RANDOM_PORT)

 

내장 톰캣으로 구동이 되면 MockMvc 로는 테스트할 수 없으니 테스트를 위한 HT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TestRestTemplate다. 여기에 더해서 여러 레이어 간의 동작을 보는 통합 테스트가 아니라 단위 테스트인 경우에는 MockBean을 실제 빈 대신에 주입한 고립 테스트가 가능하다.

아래 컨트롤러를 테스트해보자.

@Controller
public class SampleController {
    @Autowired
    SampleService service; // 테스트대상(SampleController)이 다른 빈에 의존성을 가진다.

    @GetMapping("/sample")
    @ResponseBody
    public String sample(){
        return service.service(); // 서비스빈 호출
    }
}

SampleService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상관없이 SampleController의 구현을 대상으로 하는 테스트라면 @MockBean을 활용하여 실제 빈을 대체할 수 있다.

import static org.mockito.Mockito.when;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webEnvironment = SpringBootTest.WebEnvironment.RANDOM_PORT)
public class SampleTest {
    @Autowired
    TestRestTemplate testRestTemplate;

    @MockBean
    SampleService mockSampleService;

    @Test
    public void sampleController_mockService_Test() throws Exception {
        // SampleService의 리턴을 사전에 정의한다.
                when(mockSampleService.service()).thenReturn("mock service");

        String result = testRestTemplate.getForObject("/sample", String.class);
        Assert.assertEquals(result, "mock service");
    }
}

Mock 서블릿 환경이 아닌 실제 내장톰캣이 랜덤포트로 구동됐으므로MockMvc는 사용할 수 없다. 그 대신 주입받은 테스트용 클라이언트인 TestRestTemplate를 활용하여 테스트 요청을 보내고 정의한 리턴 값을 확인한다.


Slice Test

@SpringBootTest는 자동 설정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전체 빈을 모두 등록하여 테스트한다.(그러므로 무겁다.) 만일 컨트롤러처럼 MVC만 테스트하고 싶거나, JPA만 테스트하고 싶은 경우 특정 레이어의 빈만 등록하여 가볍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애노테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WebMvcTest, @WebFluxTest, @DataJpaTest 등 제공되는 애노테이션들이 있지만 @WebMvcTest만 살펴본다.

@WebMvcTest

스프링 MVC 컨트롤러에 관련된 환경구성만 진행하므로 @Controller, @ControllerAdvice, @JsonComponent, Converter, GenericConverter, Filter, HandlerInterceptor, WebMvcConfigurer, 그리고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만 빈으로 등록된다.

다른 의존성이 있다면 테스트에서 빈등록 위해 명시해주거나 MockBean으로 대체해야 한다.

@RunWith(SpringRunner.class)
@WebMvcTest(SampleController.class) // 테스트대상 클래스만 빈으로 등록한다.
public class SampleTest {
    @MockBean
    SampleService mockSampleService;

    @Autowired
    MockMvc mockMvc;

    @Test
    public void sampleController_Test() throws Exception {
        // SampleService의 리턴을 사전에 정의한다.
        when(mockSampleService.service()).thenReturn("mock service");

        mockMvc.perform(get("/sample"))
                .andExpect(handler().handlerType(SampleController.class))
                .andExpect(handler().methodName("sample"))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string("mock service"))
                .andDo(print());
    }
}

요약하면

  • 스프링부트에서는 테스트를 위해 starter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 classpath에 starter 의존성만 추가하면 자동 설정까지 완료된다.
  • 스프링부트 테스트에서는 @SpringBootTest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위한 초기설정이나 환경설정을 추가/변경 할 수 있다.
  • 테스트하고자 하는 대상이 다른 빈을 참조하고 있다면 Mock 빈의 사용을 고려하자.
  • @SpringBootTest와 다르게 일부 레이어 테스트를 위한 @WebMvcTest 등을 제공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