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게임즈 주가 전망 - 신작 블루아카이브의 영향은?

 

이번에 정리해볼 기업은 게임 제작사인 넷게임즈 입니다. 넷게임즈의 상장 이후 주가 흐름과 앞으로의 주가 전망 및 블루아카이브의 영향 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V4 흥행 및 흑자전환 성공

넷게임즈는 HIT, 오버히트, V4 등의 게임을 제작했으며 V4는 현재도 매출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어 2019년11월 출시 이후 꾸준하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또한 넥슨의 자회사로 넷게임즈 게임의 국내 및 해외 퍼블리싱은 주로 넥슨에서 하고 있습니다.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V4 매출의 하드캐리로 지속적으로 적자였던 분기 영업이익이 2019년 4분기부터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으며 국내 성공을 발판삼아 해외 여러 나라에 진출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진출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인 듯싶습니다. 아래 분기 매출을 보시면 2019년 3분기 이후로 2020년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넷게임즈 최근 실적

 

넷게임즈 최근 주가

V4의 꾸준한 매출로 흑자전환에 성공했음에도 그다지 관심을 못 받던 넷게임즈가 최근 상한가를 치는 등 엄청난 상승이 있었습니다. 2021년 2월 출시 예정인 <블루아카이브>란 게임 때문인데요 이전에 <프로젝트 MX>라는 이름으로 개발하던 게임이 정식 명칭을 내걸고 홍보 중에 있습니다.

넷게임즈 최근주가

 

블루아카이브 - 2021년 02월 04일 일본 출시작

<블루아카이브>는 애니메이션 분위기의 수집형 RPG로 서브컬처 유저층을 겨냥한 게임입니다. 요새 인기를 끌며 양산형으로 많은 게임들이 출시되는 그 장르로 설명상으로는 소녀들이 등장하는 학원물로 유저는 선생님 입장에서 학생들을 이끌고 도시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들을 해결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장르 게임을 즐기지 않지만 덕력있으신 분들의 평을 찾아보면 일본에서의 성공 가능성은 중박 정도는 되는 거 같습니다.

 

<블루아카이브>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업계에서 유명한 PD인 김용하씨가 참여했다는 것과 일본 퍼블리싱을 모회사인 넥슨이 아닌 <요스타>에서 맡는다는 것입니다.

김용하씨의 경우 서브컬쳐에 대한 이해가 탁월하기로 정평이 났으며 2014년작 <큐라레: 마법도서관> 개발을 총 지휘하면서 유명해지신 분이고, <요스타>는 중국 게임사로 벽람항로의 일본 서비스와 명일방주 한국 서비스를 연달아 성공리에 정착시키면서 서브컬쳐 장르 대표주자로 떠오른 퍼블리셔입니다.

 

블루아카이브

 

이전 넷게임즈 주가 흐름

상장 이후 넷게임즈의 주가 흐름을 정리해 봤습니다. 아래 글과 차트를 같이 보시면 됩니다.

 

초기 <오버히트> 출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주가는 넥슨이 넷게임즈를 인수한다는 소식에 최고점을 찍고 난 후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로 엄청난 하락을 보였습니다. 

그러다가 2019년 김정주 회장이 넥슨을 매각한다고 발표하자 주가가 급등했다가 하락했었고(결국 매각은 실패였습니다.) 신작 <V4>의 티저나 홍보기사 등으로 기대감이 증가하여 다시 상승했었습니다.

보통의 게임주가 그렇듯 게임 출시 후 하락했다가 <V4>의 매출이 잘 나오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하자 주가는 살짝 상승했다가 최근 <블루아카이브>의 기대감으로 15,000원선으로 급등한 상태입니다.

넷게임즈 주봉차트

 

 

<신작 출시 후 하락> 공식

2018년 <오버히트> 출시와 2019년 <V4> 출시후 주가를 보면 신작 출시 후 하락 공식은 거의 과학입니다.

2018년 <오버히트> 출시

 

2019년 <V4> 출시

 

<블루아카이브>는 다를까?

넷게임즈의 이전작들을 보면 게임 출시가 얼마 안 남았고 이미 큰 상승을 한 상태에서 진입한다는 게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01/27일 기준으로 엄청난 상승을 한 <데브시스터즈>를 보면 <쿠키런:킹덤> 출시일이 01/21임에도 오히려 출시 후에 상한가를 연달아 쳐버리는 이전 공식을 깨는 상황이 나왔습니다.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출시이후 연속 상한가

마침 시총도 4500억 정도로 넷게임즈와 데브시스터즈는 비슷합니다.

넷게임즈의 <블루아카이브>는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에 비해 IP가 약하지만, 일본 출시가 잘되면 해외성공 레퍼런스로 대만 등 타 지역 진출이 쉬워 쿠키런보다 고점은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작들과 장르 등 성격이 다른 게임이므로 시장이 다르게 반응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며 꼭 일본에서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youtu.be/TQv0ni0N8fc

 

작년은 BBIG(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의 한해였다. 이미 주가가 많이 올랐고 새로 들어가기에는 부담이 있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작년에 많이 오르지 않은 섹터에 주목하자.

 

섹터1. 방산업체

한화그룹, LIG넥스원 등 방산 기업들은 안정적이지만 성장성이 없어 관심에서 많이 제외됐었다. 하지만 최근 '우주' 테마와 엮이면서 상승을 보였다.

한화그룹이 인공위성 업체를 인수하듯이 일부 방산업체에서는 우주관련 사업을 준비했었다. 테슬라가 스페이스X로 주가를 상승시키고 현대차가 자율주행, 전기차로 주가가 상승했듯이 방산-우주를 엮어 생각해보자.

 

섹터2. 우선주

우리나라에서 지주사는 평가가 박했지만 추세가 변하고 있다.

대기업들이 M&A에 점점 적극적이게 되고 이는 지주사의 가치로 합쳐치기 쉽기 때문에 재평가되고 있다.

 

섹터3. 화장품, 의류, 백화점

코로나19 백신 및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큰 영향을 받는 종목을 주목하자. 시진핑이 작년에 코로나19로 방한하지 못했지만 올해는 가능성이 있다. 

같은 코로나 피해주여도 일부 여행주는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 주가가 더 오른 기업도 있다. 이렇게 이미 오른 기업들은 투자하기 위험하다. 소위 '못난이 업종'에 집중해보자.

 

섹터4. 음식료 

원재료 상승은 제품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후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제품 가격은 내려가지 않는다. 


SK텔레콤 주가 전망 - 인적분할은 호재일까?

SK텔레콤 주가 전망과 리포트에서 나온 내용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SK텔레콤 최근 주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 릴레이로 이제 SK텔레콤 30만원까지 날아가나 했었는데 잠시 쉬어가는 건지 25만원 선으로 내려왔습니다. 최근 흐름을 보면 개인과 외국인은 매수, 기관은 매도 포지션입니다. 

 

SK텔레콤 리포트 리뷰

최근 SK텔레콤의 리포트들에 대한 요점정리 내용입니다.

주로 SK텔레콤이 자회사로 가지고 있는 비통신 회사들의 실적에 대한 긍정적인 예측과 올해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SK텔레콤 인적분할에 대한 방향 그리고 이게 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SK텔레콤 리포트 요약

SK텔레콤의 인적분할은 가능성이 거의 확정된 사항이며 이를통해 SK텔레콤이 가지고 있는 자회사들의 가치가 부각될 것이라는 내용은 모든 리포트가 동일했습니다. 다만, 인적분할로 새로운 중간지주회사가 생기는 것이 SK텔레콤 주식에게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조금 갈렸습니다.

 

의견1 : SK텔레콤 인적분할은 SK텔레콤 주주에게 좋은 영향은 아니다.

2021/01/15 하나투자에서 나온 리포트에는 SK텔레콤의 중간지주회사는 결국 (주)SK에게 합병될 것이므로 결국에는 인적분할 및 SK텔레콤 자회사IPO에 대한 수혜는 (주)SK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중간지주회사와 (주)SK의 합병 시나리오에서는 중간지주회사의 주가가 낮을수록, (주)SK의 주가가 높을수록 SK입장에서 유리하므로 인적분할을 재료로 매매를 할 생각이라면 SK텔레콤보다는 (주)SK를 추천한다고 합니다.

 

인적분할 및 중간지주회사의 합병으로 현재 SK텔레콤의 자회사가 모두 (주)SK 밑으로 들어간다면 SK텔레콤은 순수한 통신사로써 가치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통신사는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낮은 종목군입니다.

SK텔레콤 인적분할 및 (주)SK 병합 시나리오

의견2 : SK텔레콤 인적분할은 자회사 가치가 부각되어 SK텔레콤에게 긍정적인 영향이다.

SK텔레콤의 자회사들은 모두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런 성장세로 자회사가 상장 및 인적분할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시가총액이 확장되는 것이 예상됩니다. 중간지주회사와 (주)SK 간의 합병 리스크가 있다고 해도, 합병 시점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으며,(3년 또는 10년 후가 될 수도 있다.) 그때까지 (주)SK와 SK텔레콤 중간지주회사가 각각 기업가치 확장을 위해 노력한다고 했을 때 지금 시점에서 인적분할은 SK텔레콤에게 긍정적인 영향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까?

배우신 애널리스트 분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데 어느 한쪽 의견을 맹신하는 것은 좋을 게 없다고 봅니다.

인적분할에 대한 리포트 내용의 추이를 보면 일단 긍정적인 방향으로 쏠려 있으며, 아직은 SK텔레콤 자회사들에 대한 가치가 주가에 모두 반영되지 않았다는 생각으로 많이 빠지는 날에는 줍줍하며 홀딩해볼 생각입니다. 

+ Recent posts